메뉴 건너뛰기

언론보도

[메디컬투데이 이한솔 기자] “병원감염 문제, 5명 처벌한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근본적인 해결 위해 감염경로 밝히고 간호인력 기준을 강화하라”

전국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는 12일 성명서를 통해 이 같이 주장했다.

이대목동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신생아 4명이 잇달아 사망한 사고와 관련, 질병관리본부의 역학조사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부검결과를 종합한 결과, 사망원인이 시트로박터 프룬디균 감염으로 인한 패혈증으로 확인됐다고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가 밝혔다. 

경찰은 이 같은 결과가 나옴에 따라 지질영양주사제 취급 과정과 관련된 간호사, 주치의 등 5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입건할 예정이다. 

의료연대본부는 이를 두고 “경찰의 발표 내용에는 아직 핵심적인 사항인 감염경로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의료인들이 왜 감염관리 의무를 위반했는지에 대한 이유도 밝혀지지 않았다. 통상적으로 병원감염과 환자사망률은 간호인력 등 병원 인력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감염경로와 관련된 구조적인 문제와 인력을 포함한 시스템문제까지 세밀하게 밝혀져야 하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전혀 거론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병원경영진의 책임도 묻지 않으면서 개인 의료인 몇 명 처벌로 마무리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또 “사망사고의 원인이 약제 자체만의 문제로 밝혀진 것이 아니라면, 위의 내용들이 모두 조사되고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나와야 한다. 주사제를 다루는 과정에서 오염이 발생했다면 왜 오염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는지, 감염관리 지침이 있어도 간호사가 왜 그대로 지킬 수 없었는지, 이런 상황이 일상적으로 발생하게 하는 구조는 무엇인지가 중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병원 현장을 참고하면 결국 인력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의료연대본부는 “지금의 인력수준에서는 손 씻기 등 감염관리를 위한 지침을 그대로 지키면 정해진 시간 안에 환자에게 해야 할 간호를 완료할 수 없기 때문”이라며 “부족한 간호인력 수준은 환자 간호가 지연되지 않으려면 감염관리가 부실해지는 역설적인 상황 속에 간호사들이 놓이게 한다. 이런 과정에서 대부분의 병원에서 의료사고는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대목동병원 사건이 처리되는 방향은 향후 다른 병원에서 이와 같은 일이 재발될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 명확한 감염경로와 근본적인 이유가 밝혀지지 않은 채 개인들만 처벌하고 끝난다면, 정작 감염관리 시스템에 책임이 있는 병원경영진에게 경각심을 주지도 못하고 간호인력 기준 강화도 요원해진다”고 덧붙였다.

이어 “오히려 병원경영진들은 인력수준 등 감염관리에 핵심적인 요소들은 그대로 둔 채 앞으로는 의료사고가 드러나지 않도록 숨기는 데만 더 힘을 쏟을 것이다. 의료연대본부는 정부와 경찰이 병원의 꼬리자르기에 동참할 것이 아니라면 문제의 핵심인 간호인력 수준을 포함한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더 이상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밝혔다.   
메디컬투데이 이한솔 기자(lhs7830@mdtoday.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69 복지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전면 확대 계획 재검토” 1209라포르시안 2016-12-09 188
668 “서창석 병원장, 근거중심의학·전문가 권위 훼손…즉각 파면해야” 0110라포르시안 2017-01-12 188
667 진주의료원 주민투표 불투명, 무효서명 47%달해 0922노컷뉴스 2015-09-24 189
666 청주시 노인전문병원 왜 폐업까지 했나 0607미디어충청 2015-08-24 189
665 “공공의료까지 파괴하는 노동개악, 이대로 둘 수 없다” 1019민중의소리 2015-10-20 189
664 규제완화와 민영화 등, 안전 위협과 사회적 낭비 초래 1028레디앙 2015-11-01 189
663 [초점]국립대병원 임금피크제, 추투(秋鬪) 도화선 될까 1102청년의사 2015-11-04 189
662 의료연대본부 “교육부 임금피크제 강압, 노사관계 불법개입” 1110쿠키뉴스 2015-11-11 189
661 국립대병원 노동자들 "불법 임금피크제 강요 말라" 1117매일노동뉴스 2015-11-18 189
660 지자체 조례로 의료법 무력화…"규제프리존법, 박근혜-최순실-전경련 합작법안" 1125라포르시안 2016-11-25 189
659 국민 4%가 광장에…한반도 5000년사 최대 1126프레시안 2016-11-28 189
658 “서창석 서울대병원장, 고 백남기씨 병세 청와대에 수시 보고” 0102경향 2017-01-02 189
657 일하려고 자격증도 땄는데, 병원에서 나가라고요? 0903경향신문 2015-09-08 190
656 퇴사·휴직 중인 간호사가 정상 근무를? 병원의 인력 허위신고 심각 1008라포르시안 2015-10-11 190
655 119 안 부르고 트럭으로 환자 수송, 왜? 1019오마이뉴스 2015-10-20 190
654 임금피크제 '폭풍'‥ 일부병원들 노조 총파업 1029메디파나뉴스 2015-10-30 190
653 민주노총 “취업 규칙 임의 변경 만연” 1118아시아투데이 2015-11-19 190
652 서울대병원이 꼭 필요합니까? 0427프레시안 2015-06-06 191
651 세월호 참사로 고아된 7·9살 아동에 건보료 부과 0912민중의소리 2015-09-13 191
650 의료공급체계 개선과 포괄간호서비스 핵심은 '인력' 0903매일노동뉴스 2015-09-08 191
위로